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태양광에너지를 모으고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갖춘 발전소로, 무공해이며 무제한적인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하다는 특징이 있다. 전력망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설계된 대규모 광전지 시스템을 갖추어 솔라파크(Solar park)로도 불리며, 개인 사용자 또는 산업용 수준의 전력을 공급한다. 태양광발전은 빛을 직접 전기로 변환하는 광전지 모듈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태양열발전과는 구별된다.
일부 국가에서는 용량 단위를 태양열 직류전력량(DC)을 나타내는 메가와트피크(MWp)를 사용하지만, 캐나다, 일본, 스페인 및 미국의 일부 지역에서는 다른 형태의 발전 용량과 비교 가능한 척도인 교류형 메가와트(MWAC) 단위를 사용한다. 또한 종종 메가볼트암페어(MVA) 단위를 사용하기도 한다. 태양광발전소의 대부분은 1MWp급 이상의 규모로 개발된다.
독일의 경우 2013년 브랜디스 시 외곽에 축구장 200배에 달하는 크기의 발전소를 완공하였는데, 이곳에는 박막형 태양광 모듈 55만 장이 투입되어 1만 2,00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40MW급 전력이 생산된다. 2017년 두바이에서 200MW급인 세계 최대 규모의 태양광발전소 설치 준공에 착수하였으며, 한국의 경우 2017년 한국전력공사가 미국 콜로라도 주에 진출하여 30MW급의 발전소 운영을 시작하였다.
2013학년도 수능 한국지리
17. 지도는 우리나라 신·재생 에너지별 생산량의 지역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가)~(다)에 해당하는 에너지로 옳은 것은?[3점]
(가) (나) (다)
① 수력 풍력 태양광
② 수력 태양광 풍력
③ 풍력 수력 태양광
④ 풍력 태양광 수력
⑤ 태양광 수력 풍력
정답 및 해설
17. 신ㆍ재생 에너지 생산의 지역 분포 특징 파악
정답 해설 : (가)는 강원도와 충북 등 산지 비율이 높은 곳에서 생산량 비중이 높은 것으로 보아 수력이다. 수력은 낙차를 크게 얻기 위해 하천의 중ㆍ상류 지역에서 생산되기 때문이다. (나)는 전라남도 지역에서 매우 높은 비중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태양광이다. 태양광은 일조시수가 긴 지역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다)는 강원도와 경상북도, 제주특별자치도의 비중이 대체로 높다. 이들 지역에 풍력 발전소가 많이 건설되었기 때문이다. 정답 ②